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다. 배터리 세계 점유율 1위인 CATL도 중국 기업이고 워렌버핏이 투자했던 전기차 업체인 BYD도 중국 업체이다. 하지만 미국의 중국에 대한 견제로 중국에 대한 투자는 리스크가 있을 수 있다. 하지만 중국의 지난 과거를 살펴보면 유튜브와 구글 등을 막으며 자신들의 IT 기업을 성장시켜 광고 시장에서 유튜브 광고와 구글 광고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있는 플랫폼을 가진 나라 중 하나가 되었으며, 아마존을 대신하는 알리바마 등 자국의 기업 양성에 힘쓰고 있기때문에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은 중국에 대한 관심을 없을 수 없다.
이러한 상황에서 중국발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ETF를 하나 소개한다.
TIGER 한중전기차(합성) ETF
자산규모 : 103억
운용사 : 미래에셋
총보수 : 0.35%
이 ETF는 “KRX CSI 한·중 전기차 지수"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하는 ETF이다. 추종하는 지수가 생소할 수 있는데 그 지수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된다.
- 산출기관 : KRX
- 지수개요 : 한국 및 중국 주식시장의 우량 전기차 기업(배터리 관련 기업 포함)에 투자하는 지수로 양국의 전기
차·배터리 관련 기업 중 시가총액 상위 15종목씩 총 30종목으로 구성
- 구성종목 : 2개의 서브지수로 구성
(한국) KRX 전기차 Top 15 지수: 코스피/코스닥시장 상장 종목 중 리튬 배터리 및 배터리 소재 생산 관련 기업
및 전기차 완성업체로 일평균시가총액 상위 15개 종목 선정
(중국) CSI New Energy Vehicles 15 USD 지수: 상해/심천거래소 상장 종목 중 신에너지 완성차, 충전 설비, 리튬
전지 설비, 모터 컨트롤, 배터리 소재, 배터리 셀, 관련 설비, 관련 소재 사업을 영위하는 최근 1년 일평균시가총액
상위 15개 종목 선정
- 산출방식 : 상기 각 서브지수의 수익률을 50%씩 합성하여 산출
- 정기변경 : 연 2회 (6, 12월)
간단하게 이야기 하면 중국과 한국의 전기차 관련 종목 중 각각 상위 15개의 종목을 선정하여 구성된 지수로 2014년을 기준으로 하여 지수를 표시한다. 따라서 이 지수에 투자한다는 것은 중국과 한국의 전기차 종목 중 우량주에 투자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고 할 수 있다.

구성 종목을 보면 직접 투자가 아닌 총수익스와프(TRS)를 통해서 투자하고 있다. 이는 미래에셋을 대신하여 각 증권사가 투자하며 투자에 대한 수익과 손실은 미래에셋이 얻으며 각 증권사에 일정 금액에 수수료와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이다. 이러한 방법을 통해 미래에셋은 레버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적은 자본으로도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.
결론
나중을 위해 재테크를 하는 사람들에게 중국이란 위험과 기회의 땅이다. 하지만 투자를 위해서는 언제가 관심을 가져야 하고 이러한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때는 한번쯤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. TIGER 한중전기차(합성) ETF는 중국발 리스크를 한국 주식에 투자함으로서 어느 정도 헷지할 수 있는 상품이라 할 수 다.
투자의 판단과 의사결정 그리고 거래에 대한 손익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 이 글은 개인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절대 투자 권유글이 아닙니다.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미국주식] S&P 500 추종 ETF IVV,VOO,SPY 비교 총정리 (0) | 2023.04.04 |
---|---|
SOL 미국배당다우존스(H)와 SOL 미국배당다우존스의 차이점 (0) | 2023.04.03 |
[미국주식] 국내 상장된 미국 반도체 ETF 2가지 (2) | 2023.03.30 |
환율 걱정 없이 나스닥 100지수에 국내에서 투자하는 방법 3가지 (0) | 2023.03.24 |
[미국주식] 국내에서 나스닥100에 투자하는 방법 3가지 (0) | 2023.03.22 |